생물자원관-울산과학기술원 박태주 교수진 공동 연구

무당개구리와 수정란 <환경부 제공>

(동양바이오뉴스) 무당개구리 배아를 이용해 호흡기 질환의 치료물질을 연구하는 기법이 새로 개발됐다.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은 울산과학기술원 박태주 교수진과 함께 최근 '자생 양서류를 이용한 기능성 유효물질 탐지기법'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이 연구기법은 실험실 내에서 인공 산란한 무당개구리의 배아를 이용한 게 특징이다. 지금까지는 인간의 구강세포나 설치류 등의 포유동물을 활용해 실험해왔다.

연구진은 양서류 배아 표피 점막이 인간의 기관지 점막과 유사하다는 점에 착안해 자생 양서류 배아를 이용한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진은 무당개구리·참개구리·북방산개구리·계곡산개구리·한국산개구리 등 총 5종의 자생 양서류를 대상으로 배아의 뮤신(Mucin) 분비 실험 적합성을 분석했다.

뮤신은 폐·침샘 등의 점막에서 분비되는 끈적하게 늘어나는 점액 물질로, 기침이나 천식 등 호흡기 질환을 겪을 때 나오는 가래의 주성분이다.

그 결과, 무당개구리 배아가 다른 자생 양서류보다 배아의 뮤신 측정이 쉬운 피부 상피조직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했다.

실제로 무당개구리 배아에서 호흡기 질환에 유효한 것으로 알려진 나라신(Narasin)·비쿠쿨린(Bicuculline) 등 뮤신 분비 조절제 4종을 처리한 결과, 뮤신 분비가 10∼16% 감소했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기법을 앞서 2월 26일 특허출원했으며 관련 분야 해외 학술지인 '몰레큘러 뉴트리션 앤드 푸드 리서치'(Molecular Nutrition & Food Research)에 3월말 투고할 예정이다.

최종원 국립생물자원관 생물자원활용부장은 "이번에 개발한 연구기법을 표준시험법으로 확립해 관련 학계와 기업에서 신약개발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동양바이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