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대 연구팀, 뇌혈관 장벽 손상 과정 규명

국내 연구진이 노화에따른 치매와 기억력 감퇴를 개선 시킬수 있는 신약을 개발 가능성을 제시했다.

한국연구재단은 경북대 배재성·진희경 교수 연구팀이 노화 치매 뇌혈관 장벽 손상 과정을 규명했다고 4일 밝혔다.

뇌혈관 장벽은 뇌 신경 세포의 기능 유지와 뇌 조직 내 미세환경 조절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혈액으로부터 필요한 영양분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고 위험 물질을 제한하는, 일종의 문지기이기 때문이다.

뇌혈관 장벽이 손상되면 기억력이 감퇴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노화 치매 같은 퇴행성 뇌 질환에서 이런 현상은 주로 나타난다.

왼쪽부터 경북대 배재성·진희경 교수, 박민희 박사후연구원, 이주연 박사과정 <한국연구재단>

런데 손상을 일으키는 정확한 원인과 그 과정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알려진 바가 없었다.

연구팀은 65세 이상 사람 혈장과 노화 동물모델 혈장·뇌 조직에서 산성 스핑고마이엘리네이즈(ASM) 활성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한다는 사실을 관찰했다.

노화 동물모델에서 증가한 ASM은 뇌혈관 내피세포 사멸을 유도했다.

또, 세포 투과성과 관련한 구성 물질(카베올래)을 유입시켜서 뇌혈관 장벽 투과성을 높였다.

이 때문에 뇌 조직 내 혈장 단백질이 비정상적으로 빠져나갔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뇌혈관 장벽 투과성 증가는 신경 세포·신경조직 손상을 불러와 기억력 감퇴를 일으킨다는 뜻이다.

이와 반대로 유전적으로 ASM이 억제된 노화 동물모델에서는 뇌혈관 장벽 투과성이 감소했다.

그 덕분에 신경 세포 손상이 감소해 감퇴한 기억력이 향상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ASM 억제에 의한 노화 치매 치료 가능성을 확인한 셈이다.

배재성 교수는 "노화 치매에서 산성 스핑고마이엘리네이즈가 뇌혈관 장벽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살핀 것"이라며 "연구실에서 개발 중인 산성 스핑고마이엘리네이즈 억제 약물이 노화 치매를 포함한 다양한 퇴행성 뇌 질환 치료 신약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사업(중견연구·기초연구실) 지원으로 수행했다.

국제학술지 뉴런(Neuron)에 9월 28일 자에 연구 논문이 실렸다.

저작권자 © 동양바이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